구림마을 안내
구림마을 관람안내

- 상대포역사공원
上臺浦歷史公園
- A.D. 405년에 왕인박사가 일본으로 떠났다고 전해지는 포구로 중국과 일본을 잇는 국제항구였다.

- 정원명석비
貞元銘石碑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통일 신라시대 매향비이다. 글자는 당연호인 정원 2년(786년 원성왕 2년)이 새겨져 있다.
- 문화재자료 제181호

- 국사암
国師岩
- 도선(道詵)국사(827-898)의 탄생설화 바위이다. 도선국사는 우리나라 음양 풍수설의 대가로 875년(헌강왕1)에 고려건국을 예언하였으며, 880년(헌강왕6)에 도갑사를 창건하였다.

- 국암사
国岩祠
- 고려 태조 왕건의 개국 공신인 별박사 최지몽(崔知夢)을 배향하는 사우이다.

- 죽림정
竹林亭
- 현징(玄徵 1629-1702)이 참봉을 지내고 고향에 내려와 지은 정자로 정자의 원형은 내동리에 있던 취음정을 이축해 온 것이다.

- 간죽정·죽정서원
間竹亭·竹亭書院
- 오한공 (五恨公) 박성건(朴成乾 1418~1487)이 장수현감을 지낸뒤 구림에 내려와 지은 정자이며, 후학을 양성한 곳이다.

- 회사정
會社亭
- 대동계 집회 장소이며, 정유재란과 6.25 전쟁 소실로 몇차례 중수와 복원을 거쳤다.

- 대동계사
大洞契舍
- 조선 명종 20년(1565)에 향약 구현을 위해 결성된 마을향약계 대동계는 동약계로서 그 맥을 유지해 오고 있는 호남의 대표적 동약으로 동계 자료가 잘 보존되어 있다.
- 문화재자료 제198호

- 영암 구림리 요지
霊岩 鳩林里 窯址
- 통일신라시대 유약 바른 도기를 최초로 생산한 가마터이다. 출토 도기는 돌대장식대호, 사각편병, 주판알 모양의 유병 등 일상생활용 도기이다.
- 사적 제338호

- 영암군립하정웅미술관
霊岩郡立河正雄美術館
- 동강 하정웅이 컬렉션한 미술품 3,036여점의 기증 계기로 세워진 공립미술관이다.
- 전남-제30호

- 동강 하정웅컬렉션실
영암도기박물관 3층
- 동강 하정웅이 컬렉션한 도자기를 전시하고 있다.

- 영암도기박물관
霊岩陶器博物館
- 사적 제338호 구림리 요지 출토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현대 도자상품 판매와 도예체험을 할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이다.
- 전남-제10호

- 왕인박사유적지
王仁博士遺跡址
- A.D. 5세기 초 일본에 천자문과 논어를 가지고가 아스카(飛鳥) 문화에 크게 공헌한 왕인박사를 현창한 유적지이다. 유적지에는 왕인박사 사당과 전시관, 탄생지, 문산재, 양사재, 책굴, 지침바위, 왕인석상 등이 있다.
- 지방기념물 제20호

- 영암 목재문화체험장
靈巖 木材文化體驗場
- 새로운 건축문화로서 한옥건축의 현재와 미래를 체험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구림마을 문화지도
문화지도 크게보기
- 1코스 : 하정웅미술관 →도기박물관 →종이공예관→상대포역사공원→구림리요지→한옥목재체험장→왕인박사유적지→도갑사
- 2코스 : 도기박물관→하정웅미술관 →구림리요지→한옥목재체험장→왕인박사유적지→도갑사→기찬랜드
- 3코스 : 도갑사→왕인박사유적지→한옥목재체험장→구림리요지→상대포역사공원→도기박물관→하정웅미술관 →기찬랜드
- 4코스 : 왕인박사유적지→한옥목재체험장→종이공예관→도기박물관→하정웅미술관 →도갑사→기찬랜드→낭산기념관
- 5코스 : 기찬랜드→ 하정웅미술관 →도기박물관→왕인박사유적지→도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