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분야별정보 > 재난안전 > 재난안전대책정보 > 기상상식

재난안전대책정보

열대야란?

자외선이란?

대류권
  • 기상현상이 일어나는 불안정한 대기층으로 위로 올라 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땅위에서 약 8~12킬로미터 높이까지)
성층권
  • 오존층이 있는 안정된 대기층으로 위로 올라 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약 50킬로미터 높이까지)
중간권
  • 가장 온도가 낮은 대기층으로, 위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약 80킬로미터 높이까지)
열권
  • 공기가 아주 적으며 온도가 매우 높은 대기층으로 , 위로 올라 갈수록 기온이 높아진다. (약 580킬로미터 높이까지)

산성비란?

기압골이란?

기압경도력(氣壓傾度力)이란?

기상레이다란?

지진파(地震波)란?

황사(黃砂)란?

기상(氣象)과 기후(氣候)

이상기후(異常氣候)란?

기압배치(氣壓配置)란?

전향력(轉向力)란?

일교차(日較差)란?

불쾌지수(不快指數)란?

응결핵(凝結核)이란?

적산온도(積算溫度)란?

이슬점온도란?

엘리뇨란?

라니냐란?

일기속담

바람에 관한 속담
  • 새벽녘에 별빛이 흔들리면 큰 바람이 분다.
    하루 중 기층이 가장 안정되어 있는 새벽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아 별빛이 물결치듯 흔들리면 바람이심하게 불 징조라 할 수 있다. 대기 중 따뜻한 공기와 찬 공기가 접촉하면 불연속면이 생기기 때문에 이 층을 통해 별빛을 바라볼 경우에도 별빛이 가물거려 앞으로 날씨가 나빠질 징조이모로 기상관측 장비를 갖추지 않은 소형선박은 출항을 경계해야 된다.
  • 햇무리와 달무리가 나타나면 비가 온다.
    햇무리와 달무리는 얼음의 결정체로 된 엷은 구름이 해나 달의 주위를 덮게 되면 마치 프리즘의 역할을 하게되어 햇빛이나 달빛이 반사 또는 굴절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 저녁놀 은 맑고 아침놀 은 비가 온다.
    놀 현상은 태양광선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 선택흡수, 산란 혹은 굴 절하여 생기며 적색으로 보이는 원인은 파장의 특성 때문이다. 모든 파(波)는 굵고 긴 물체에 부딪치면 산란(散亂)되어 되돌아가는 특성이 있다. 저녁놀이 나타남은 곧 서쪽하늘에 먼지가 많음을 뜻하고, 먼지가 많다는 것은 날씨가 맑기 때문이다.
  • 아침 무지개는 비, 저녁 무지개는 갠다.
    무지개는 태양광선이 빗방울에 의해서 반사 굴절되어 나타나는 단순한 물리적인 현사이며 아침 무지개는 서쪽에, 저녁 무지개는 동쪽에 나타난다.
  • 번개가 잦으면 벼농사가 풍작 된다.
    7 ~8월이 되면 우리나라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권내에 접 어들어 날씨가 몹시 무덥고 맑은 날이 계속되면서 지면이 가열되어 강한 상승 기류가 생겨나 번개를 동반한 적란운이 발달하게 된다. 공중전기는 땅속의 비료성분에 작용하여 영양분의 분해를 촉진 작물이 이를 흡수 하는데 도움을 주며, 공중에 질소 및 아황산가스를 생 성하여 강수와 함께 땅에 떨어져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
  • 양떼구름은 비를 몰고 온다.
    양떼구름이란 지상 4 ~6㎞의 높이에 떠 있는 백색 또는 엷은 회색의 동글동글한 구름 덩어리가 줄지어 떠 있는 모양이 마치 양떼가 목장에 풀을 뜯고 있는 모양과 같아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비올 확률은 50% 정도)
  • 용오름이 생기면 폭풍우가 일어난다.
    용오름은 육지에서나 바다에서나 다 같이 발생하는데 이를 멀리서 보면 물줄기가 햇빛에 반사되어 번쩍거리는 모양이 마치 용이 하늘로 오르는 현상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 용오름은 그 축이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강열한 공기의 소용돌이로서 그 지름은 아주 작 으며 큰 경우에도 수백m를 넘지못한다.
  • 먼 산이 가까이 보이면 비가 온다.
    불안한 기층에서는 상승기류가 왕성하여 낮은 층의 안개나 먼지가 높은 층으로 올라가 빛이 통과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수평 시정이 좋아져 물체가 잘 보이게 된다. 따라서 먼 곳의 목표물이 가깝게 잘 보이면 기층이 불안정상태에 놓여 있음으로 비가 올 징조라 할 수 있다.
  • 해륙풍의 방향이 바뀌면 날씨가 급변한다.
    낮에는 육지의 지면이 태양열로 쉽게 더워지는데 반하여 바다의 수 면은 그다지 더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육지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 고 바다의 비교적 찬 공기가 그 뒤를 메우기 위해 육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해풍이라 하고, 반대로 밤이 되면 육지는 바다 보다 냉각되는 속도가 빨라 육지의 찬 공기가 바다를 향해 불게 되 는데 이를 육풍이라 한다.
  • 마파람(남풍)이 불면 비가 온다.
    남풍이 불면 서쪽에 저기압이 있고 반대로 동쪽에 고기압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서쪽에 저기압이 있다는 것은 곧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편서풍지대 기류의 속성에 따라 저기압이 다가 올 것이다. 또 북풍이 불면 반대로 저기압이 동쪽에 있고 고기압이 서쪽에서 다가오고 있어 점차 날씨가 맑아진다고 보면 틀림없다.
  • 산바람이 불면 좋은 날씨가 계속된다.산간지대에서는 산바람과 골짜기 바람이 자주 분다. 산골짜기를 불 어 올라가는 바람을 골짜기 바람, 골짜기를 불어 내리는 바람을 산 바람이라 한다. 겨울철 야간에 산바람이 계속 불어내리면 좋은 날씨가 계속될 징조이고, 갑자기 산바람과 골짜기 바람이 뒤바뀌면 저기 압이나 전선이 접근하고 있어 날씨가 악화될 징조이다.
  • 높새바람이 불면 잔디 끝이 마른다.
    높새바람이란 기상학에서 휀(F?hn)현상 이라하며 산꼭대기에서 산 기슭으로 불어내리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다. 높새바람은 갑자기 고온 건조현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각종 식물에 위조현상 (잎이 시들고 마름)을 초래하여 피해를 준다.
강수현상에 관한 속담
  •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보리농사가 잘 된다.
    눈이란 수증기를 많이 함유한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는 현상을 말 한다. 눈은 열의 불량전도체이기 때문에 지면이 눈으로 덮여 있을 때에는 적설표면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도 적설 층 밑의 지면온도 는 0℃ 정도로 유지된다. 적설은 보온작용과 생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해 풍작이 된다.
  • 토우(土雨)가 내리면 소나무가 무성해진다.
    공기 중에 황사가 끼어 있을 때 비가 내려 빗방울 속에 황사가 섞여 떨어지는 현상을 토우(흙비)라 한다. 토우는 소나무를 잘 자라게 하며, 송충이를 구제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 비가 올 무렵엔 허리가 쑤시고 신경통이 난다.
    우리 인간의 신체는 수증기의 막으로 둘려 있어 교감신경 계통이 기 상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기상의 작용을 조정하고 있기 때 문에 저기압이 접근할 경우에는 습도가 높아지고 기온이 상승하 는 동시에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피부의 혈관이 확장되어 체내 혈액이 여기에 모이게 되고 피부의 체내로부터의 수분 발산이 억제된다.
  • 가루눈이 내리면 추워지고, 함박눈이 내리면 포근해진다.
    눈은 함박눈과 가루눈으로 크게 나누는데 온도가 비교적 높은 온대 지방이나 상층의 온도가 그다지 낮지 않은 곳에서 내리는 습기가 많 은 눈을 함박눈이라 하고 반대로 기온이 낮은 곳에서 내리는 싸라기 눈을 가루눈이라 한다. 온도가 낮을 때에는 눈 결정이 서로 부딪쳐 도 서로 엉겨 붙지 않은 가루눈이 내리고 온도가 높을 때에는 눈 결정체가 서로 엉겨 붙어 함박눈이 내리게 된다.
  • 물독에 땀이 흐르면 비가 온다.
    사람이 땀을 흘리는 것과 같이 물독에서 물이 줄줄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물독에 담긴 물의 온도와 공기의 온도가 서로 다 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물독이 땀을 흘리면 저기압이 접근해 오면서 온도가 점차 높아지고 대기 중의 수증기가 증가되기 때문에 비가 올 징조라 말 할 수 있다.
  • 겨울철의 날씨가 포근하면 눈이 내린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나 강수현상이 있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기온이 상승되므로 여름철에는 무더위를 느끼게 되고, 겨울철에는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에 구름이 온 하늘을 뒤덮고 일교차가 적어지면서 날씨가 포근해지면 눈이 내릴 징조이다.
  • 아침의 짙은 안개는 맑은 징조이다.
    안개란 수증기가 기층 중에서 응결하여 아주 작은 물방울을 이루어 대기의 밑층에 떠돌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짙은 아침안개는 대부분 바람이 잔잔하고 밝게 갠 날 밤과 아침사이에 잘 발생한다. (안개 가 걷히면 삭발한 스님의 머리가 벗겨질 정도로 따뜻해진다는 속담도 있다)
동·식물에 관한 속담
  • 물고기가 수면에 떠서 숨쉬면 비가 온다.
    물고기는 수온이 낮아지면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에 먹이를 찾기 위한 이동을 거의 하지 않지만 수온이 18℃이상이면 활발히 이동하기 시작하는데 대개 오전 4시 전후와 오후 4시 전후에 가장 활발한 이동을 한다.
  •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제비는 조류 중에서도 기상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계절 관측을 위한 지표동물로 지정되어 있다. 제비의 먹이는 아주 작은 곤충류로서 이들 곤충류는 비가 오기 직전 습도가 높아지면 날개가 무거워져 건조할 때 보다 날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빗방울에 맞아 떨어져 죽을 가능성마저 있기 때문에 습도가 높아지면 미리 비를 피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 개미가 장을 치면 비가 온다.
    동물이나 곤충은 인간보다 기상변화에 대단히 민간하다. 특히 개미는 습도를 극도로 싫어하는 성질이 있다고 한다. 비가 오기 전에는 대기 중의 습도가 증가하여 지면으로부터 증발현상이 감소되기 때문에 토양의 수분이 증가되므로 땅굴 속에 살고 있는 개미는 비가 올 것을 미리 알고 습기를 피해 밖으로 나와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 다. 비가 올 무렵 풀 밑이나 나무그늘 밑에 개미가 많이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아마 비가 내려도 떠내려갈 염려가 없기 때 문이 것이다. 따라서 개미가 장을 친다함은 저기압이 접근하여 대기 중의 습도와 땅속의 수분이 증가되고 있음을 뜻하므로 비가 올 징조라 할 수 있다. "개미는 5일 앞의 비를 알고, 명장은 100리 밖 의 적을 간파 한다"라는 말은 개미가 기상변화에 민감함을 비유한 속담이다.
  • 꿀벌의 활동이 이르면 계절도 일러진다.
    꿀벌은 온도에 대하여 대한이 민감하기 때문에 그 활동은 온도에 의 하여 크게 좌우된다. 꿀벌의 야외활동 한계 온도는 14℃ 내외로서 기온이 그 이하로 낮아지면 활동이 완전히 중지되고 높아지면 활동이 자유로와 진다. 그러므로 꿀벌의 활동시기가 이르고 늦음은 곧 계절의 이르고 늦음을 말해 주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고구마 꽃이 피면 천재(天災)가 일어난다.
    식물의 개화는 일조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물은 장일식품 (일조시간 14 ~ 16시간)과 단일식품(일조시간 8~10시간)이 있고, 일조시간과 관계없는 것을 중성식품 이라고 한다. 고구마는 단일식물 로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철 낮의 길이가 긴 자연 상태에서는 꽃이 피기 힘들다. 그러나 이상기온이 특히 많은 해는 분명히 일조시간이 짧았기 때문에 고구마 꽃이 많이 핀다.
기타 전래 속담
  • 하늘모양에 관한 속담
    • 뭉게구름은 맑을 징조다.
    • 새털구름은 비가 올 징조다.
    • 고등어구름은 비가 오고 정어리구름은 폭풍우가 온다.
    • 비늘구름이 나타나면 비나 폭풍이 올 징조다.
    • 아침 천둥은 큰 비를 몰고 온다.
    • 가을에 맑은 날이 4일간 계속되면 그 후에 비가 온다.
    • 은하수에 구름이 없으면 10일간은 비가 내리지 않는다.
    • 여자의 아름다움과 비늘구름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 바람에 관한 속담
    • 산바람과 골짜기 바람이 뒤바꾸면 날씨가 악화될 징조다.
    • 골바람이 자주불면 농작물에 병이 성한다.
    • 연기가 똑바로 오르면 맑고, 옆으로 흐르면 비가 올 징조다.
    • 하늬바람(북풍)이 계속 불면 맑아질 징조다.
    • 동풍이 불면 머지않아 날씨가 기운다.
  • 강수현상에 관한 속담
    • 아침 비는 지속성이 없다.
    • 아침 비는 지속성이 없다.
    • 아침 비는 여인의 자비한 모습과 같다.
    • 서리가 많이 내린 날은 맑다.
    • 서리가 빠르면 눈도 빠르다.
    • 아침 안개 끼는 날은 중머리가 벗겨지는 날이다.
    • 아침에 거미줄에 이슬이 맺히면 그날은 맑다.
  • 동물에 관한 속담
    • 강남 갔던 제비가 빨리 돌아오면 풍년이 든다.
    • 제비집이 떨어지면 불이 날 우려가 있다.
    • 제비가 물을 차면 비가 올 징조다.
    • 제비가 목욕을 하면 비가 올 징조다.
    • 개미가 담을 쌓으면 비가 올 징조다.
    • 자라가 육지로 올라오면 홍수가 난다.
    • 고양이가 세수하면 비가 올 징조다.
    • 까치가 아침 일찍 지저귀면 날씨가 쾌청하다.
    • 올빼미가 울면 날씨가 맑다.
    • 청개구리가 울면 비가 올 징조다.
    • 장구벌레가 물위에 뜨면 비가 온다.
    • 장구벌레가 물위에 뜨면 비가 온다.
  • 사람에 관한 속담
    • 갓난애가 투레질 하면 비가 온다.
    • 거지가 빨래하면 눈이 올 징조다.
    • 아침에 차 맛이 좋으면 날씨가 맑다.
    • 미친 사람이 발작하면 비가 온다.
    • 상처가 가려우면 비가 올 징조다.
  • 소리에 관한 속담
    • 아이들이 떠드는 소리가 똑똑하게 들리면 비가 온다.
    • 종소리가 기적소리가 똑똑하게 들리면 비가 올 징조다.
    • 자동차소리가 크고 똑똑하면 비가 올 징조다.
  • 기타현상에 관한 속담
    • 동지 때 따뜻하면 보리농사가 흉작 된다.
    • 초겨울이 따뜻하면 1월에 심한 한파가 오기 쉽다.
    • 초겨울이 춥고 한겨울이 따듯하면 늦추위가 오기 쉽다.
    • 바다가 울면 일기가 급변할 징조다.
    • 변소나 하수도 냄새가 심해지면 비가 올 징조다.
    • 밥풀이 식기에 붙으면 맑고, 깨끗이 떨어지면 비가 올 징조다.
    • 연못, 늪, 하천에 거품이 많이 일면 머지않아 비가 온다.
    • 바위산이 짙푸르게 보이면 비가 올 징조다.
    • 조금 때는 날씨가 기울기 쉽다.
    • 낙엽이 빨리 오면 눈이 빨리 온다.